UP TO DATE

Rhinophototherapy in persistent allergic rhinitis

강동훈 원장 0 1349

Rhinophototherapy in persistent allergic rhinitis

지속성 알레르기 비염에서 비강 광치료

(Eur Arch Otorhinolaryngol 2016;XX:1-8)

http://www.ncbi.nlm.nih.gov/pubmed/27864672

 

 

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문수진

 

 

Summary: 광치료의 국소 및 전신의 면역 억제 효과는 수 십년 전부터 알려져 염증 및 면역을 매개한 피부 질환(아토피 피부염, 건선, 백반증)에서 사용되어 왔다. 이후 비강 내 광치료에 대해서도 in vitro 및 in vivo 연구를 거쳐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에서 효과가 확인되었으나, 아직까지 지속성 알레르기 비염에서의 연구 결과는 없었다.

 본 연구에서는 34명의 선정 환자 중 연구를 완료한 25명 (남:여=18:7, 평균 연령 34.6세)의 지속성 알레르기 비염 환자를 이중 눈가림법/무작위 배정을 사용하여 두 군으로 나누어 비강 내 광치료의 안전성과 치료 효과를 확인해 보기로 하였다. Rhinolight® 군(Fig. 1)은 UV-B, UV-A 및 고강도 가시광선을 복합하여 치료하였으며, placebo 군은 저강도 백색광 비강 내 광치료를 6주에 걸쳐 총 13회(첫 주에 3번, 이후부터 일 주에 2번) 시행하였다. 증상 일기 및 비강 최고 흡기 유속(nasal inspiratory peak flow, PNIF), 정량적 후각 역치(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Threshold Test), 점액섬모 운반기능(saccharin test), 비강 상피 세포에서 ICAM-1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(Table 1). 치료 종료 4주 후까지 경과 관찰했을 때에, Rhinolight® 군은 placebo 군과 비교하여 비강 증상 및 비강 최고 흡기 유속이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 후각 및 점액섬모 운반기능은 두 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. ICAM-1 양성 세포가 Rhinolight® 군에서 감소하였으나,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. 치료 기간 중 경미한 비강 내 건조감 외에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. 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View point: Rhinolight® 광치료의 70% 이상은 가시광선, UV-A는 25% 미만, UV-B는 5% 미만에 해당한다. 그 간의 임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비강 광치료의 효과는 항원에 의한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, T-림프구와 호산구의 세포사를 유도하여 호산구의 수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. 장기적인 치료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한 다기관 연구 결과가 뒷받침 된다면, 향후 지속성 알레르기 비염을 치료할 새로운 치료법으로 대두될 수 있을 것이다.    



 

0 Comments
Category
State
  • 현재 접속자 21 명
  • 오늘 방문자 134 명
  • 어제 방문자 1,197 명
  • 전체 방문자 1,379,427 명
  • 전체 게시물 12,852 개
  • 전체 댓글수 8,366 개